| 저자 | 풍자개 | 역자/편자 | 박동욱 역 |
|---|---|---|---|
| 발행일 | 2025-11-30 | ||
| ISBN | 979-11-7549-017-8 (03820) | ||
| 쪽수 | 383 | ||
| 판형 | 130*200 무선 | ||
| 가격 | 17,000원 | ||
50년의 대작, 생명 존중의 불멸의 예술을 만나다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 곧 마음을 보호하는 것” “호생즉호심(護生即護心)” 사상으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노래한다. 중국의 작가, 화가, 만화가, 예술이론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거장 펑츠카이(풍자개豐子愷, 1898~1975)의 대표작인 『호생화집』이 마침내 한국 독자들을 만난다. 펑츠카이는 스승 홍일법사(弘一法師)의 권유를 받아 제작을 시작했으며, 그의 생애 동안 꾸준히 발전시켜 초집(初集) 출간(1929년) 이후 총 6집(1979년)에 걸쳐 완성된 불멸의 걸작이다.
풍자개수필집 02,03,04 총 3권은 450폭의 아름다운 회화와 450편의 시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일법사, 마이푸(馬一浮) 등 당대 최고의 불교학자와 문인들이 시문을 공동 집필한 이 작품은, 단순한 예술 작품집을 넘어 대승불교의 자비 사상을 근간으로 한 생명 존중 메시지를 전하는 철학서이자 교화서의 성격을 지닌다.
펑츠카이는 “일체중생개유불성(一切眾生皆有佛性)” 사상을 바탕으로,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 자연까지도 존중받아야 할 존재임을 강조하며, 모든 살아있는 것에 대한 경외와 사랑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환경 보호, 동물 복지, 생태적 공존의 윤리적 가치와 깊이 연결되는 시대를 초월한 메시지를 전한다.
전통과 근대를 아우르고, 유교의 측은지심과 불교의 자비심을 융합하다
펑츠카이(1898~1975)는 상하이 미술학교와 일본 유학을 통해 서양화, 중국화, 일본 유학 체험이 융합된 독특한 화풍을 구축한 인물이다. 1927년 홍일법사와의 만남을 계기로 불교 사상에 심취하여, 그의 예술은 불교 윤리를 시각화한 독창적인 경지로 승화되었다.
『호생화집』은 생명을 보호하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작은 벌레 한 마리를 살리고, 짓밟힐 위기의 달팽이를 옮겨주는 장면을 통해, 자비심은 특별한 상황이 아닌 일상 속 작은 선행으로도 실천할 수 있는 윤리임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주제 의식을 포괄하며 다층적인 가치를 함축하고 있다. 동물과 인간의 평등한 관계: 존재의 위계 없이 모든 생명체를 동등하게 인식하고, 일상 속 자비의 실천: 누구나 실천 가능한 일상적 윤리로서의 자비심을 강조하며, 생명 존중의 구체적 사례들: 구체적인 장면을 통해 감동을 주는 실천 방안을 제시, 불교적 생태 윤리의 구현: 모든 중생이 불성을 지닌다는 대승 사상에 기반, 감정 이입의 미학: 동물과 작은 생명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처럼 여기는 측은지심과 연결하고, 평화로운 공존의 이상: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조화를 이루어야 함을 제시한다.
역자 박동욱 교수는 5년 전 번역을 완료했으나 저작권 문제로 출간이 지연되었던 이 역작을, 중학교 2학년이 된 아들 유안이에게 따뜻한 마음과 경외를 갖길 바라는 마음으로 정성스럽게 번역했다. 지금 우리 사회에 만연한 혐오와 배제를 넘어, 공존과 조화의 길을 모색하게 하는 이 책은, 모든 살아 있는 것에 경외감을 느낄 때 비로소 인간이나 다른 생명체에 대해 함부로 할 수 없다는 깊고 단순한 진리를 아름다운 예술로 전하고 있다.
풀과 꽃의 공존법
생명을 존중하는 덕
덕화의 세 가지 기적
7대가 함께 산 가문의 기적
호랑이와의 약속
개미 다리가 바꾼 운명
정소를 구한 충견(첫 번째 이야기)
양포를 구한 영특한 개(두 번째 이야기)
편지 배달견 황이(세 번째 이야기)
주선생을 위해 복수한 개
유초의 목숨을 구한 의견(다섯 번째 이야기)
장표의 무덤을 지킨 충견(여섯 번째 이야기)
진실을 밝힌 앵무새
기러기의 몸값
정의의 심판
진범을 찾아낸 돼지
은혜에 보답한 코끼리
돼지의 복수
새로 온 제비
개미의 운명
창문을 열어주다
우리 아기 돌려주세요
길 막힌 개미들
조개 줍는 아이
이름 속 진실
벗어날 수 없는 운명
물고기의 운명
상처 입은 동료
절름발이 개
굶주린 여치
소의 헌신
흰 토끼의 기도
양털의 댓가
좋은 봄경치
고요한 봄날
복을 가져다 주는 박쥐
비 속에 찾아온 벗
나비의 약속
중추절의 비극
미명의 착각
갇힌 영혼의 노래
날개 없는 비애
당당한 거위의 개선
그네와 꿀벌
가을을 그리워하는 노래
새둥지를 뒤집다
오르막 길의 자비
영원한 속박
길 잃은 작은 생명
작은 생명의 발견
꺾이지 않는 생명력
한 무더기의 나팔꽃
꽃병 속의 삶
기와 틈에 핀 풀
갈 곳 잃은 넝쿨
산행객의 무심한 발길
생명의 끈질긴 의지
약육강식의 세계
먼저 사람을 구하라
생명의 이치
어미를 그리는 말
어미를 장사지낸 개들
어린 개의 용기
원숭이 새끼의 효심
까마귀가 어미를 먹이다
어미의 기운을 알다
의로운 사슴의 무덤
도둑을 잡은 말
범인을 찾아낸 개
독사에 물려 죽은 개
충직한 열세 마리 고양이
의리 깊은 반려 거위
황제를 지킨 신비로운 구렁이
헤어진 학들의 재회
끓는 물에 몸을 던진 원앙
기러기의 애절한 사랑
짝 잃은 기러기의 슬픔
재혼을 거부한 비둘기
새끼를 잃은 어미 양
새끼 잃은 어미개
새끼를 위한 학의 희생
어미 새의 전송
죽은 새를 데려간 새들
두 가지 희귀한 일
눈 속에서 지킨 생명
고양이의 보답
변함없는 학의 인연
영리한 새의 귀가술
개의 편지 배달
학의 편지 배달
비둘기의 편지 배달
기러기가 전한 비밀 서신
자연의 시계
효자를 인도한 사슴
쥐 떼를 부리는 은자
흙을 물어온 까마귀들
삼십 년을 날아온 제비
위기에서 보여준 말의 지혜
말이 주인을 구하다
사람을 구해낸 충직한 개
제비들의 협력
도둑을 쫓아낸 새
가시를 뽑아준 은혜
부인을 놓아준 호랑이
호랑이와 맺은 우정
토끼를 물어온 개
목숨을 구해준 쥐들
학이 물어온 구슬
도둑을 막은 큰 물고기
구슬을 선물로 준 뱀
은혜를 갚은 파리
예의를 알고 있는 새끼 양
절하는 양
재주 많은 원숭이 신사
완벽한 화음을 이룬 듀엣
주인의 재산을 지킨 개
곰의 출현이 예고한 재앙
위험을 감지한 사슴
주인의 목숨을 구한 말
경문에 귀 기울인 말
소의 예지 능력
충직한 개의 경고
개과천선한 개
잘못을 기억하는 개
늙은 말의 지혜
낙타의 지혜
바위 위의 영물
문자를 익힌 학
자유를 얻은 앵무새
서방정토로 간 앵무새
불법에 귀의한 영물
불법에 귀의한 장수 거위
스님을 그리워한 닭
아미타불을 외우는 물고기
태곳적을 기억하는 학의 증언
스승이 된 닭
뱀의 계시로 발견한 용석금
닭이 구해준 목숨
20년을 버틴 거북
뱀장어의 신비로운 음성
호랑이의 출산을 돕다
운명을 아는 돼지
우편배달부 개
닭의 경고를 무시한 비극
오리 알로 갚은 삼백 냥
화음을 이해하는 개
청개구리의 영혼
자비로운 행동의 보답
계란이 목숨을 빌다
개들의 형제애
옛 주인을 그리워한 말
어미 사슴의 애절한 울음
까마귀가 구한 황후
거미의 배려
짝을 그리워하는 앵무새
충직한 누렁이 전령
효심에 감동한 호랑이
모두 모여야 밥을 먹는 개
애틋한 재회
배 속 새끼를 보호한 장어

저자
풍자개 豐子愷, Feng Zikai
중국의 작가이자 화가, 만화가, 예술이론가, 예술교육가, 번역가. 1898년 11월 9일 절강성 석문현 옥계진에서 태어났다. 서당에서 공부할 때부터 그림 솜씨가 뛰어나 ‘어린 화가’로 이름을 날렸다. 절강성 제일사범학교에 입학해 이숙동(李叔同, 홍일법사)·하면존(夏丐尊)의 영향으로 문예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27년 제일사범학교의 스승이었던 홍일법사를 따라 불문에 귀의했다. 법명은 영행(嬰行)이다. 이후 국립예술전문학교 교수와 중국미술협회 상무이사, 상해미술가협회 부주석을 역임했다. 1975년 9월 15일 폐암으로 사망했다.
역자
박동욱 朴東昱, Pak Dong-uk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 교수이자 늘 새로운 학술 주제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한문학자이다. 『라쁠륨』을 통해 등단한 현대시 작가이기도 하다. 한문학을 학술적으로 엄밀히 연구하면서도, 그 문학성에 주목해 쉽고 편안한 문체로 풀어내 독자들에게 고전의 재미와 의미를 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하루 한편 우리 한시』, 『처음 만나는 한시, 마흔여섯 가지 즐거움』, 『조선의 좌우명』, 『중년을 위한 명심보감』, 『눈썹을 펴지 못하고 떠난 당신에게』,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너보다 예쁜 꽃은 없단다』,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눈 내린 길 함부로 걷지 마라-산운집』, 『승사록, 조선 선비의 중국 강남 표류기』, 『혜환 이용휴 시전집』(공역), 『혜환 이용휴 산문전집』(공역), 『북막일기』(공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