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상 | 역자/편자 | 김주현 주해 |
---|---|---|---|
발행일 | 2025-05-30 | ||
ISBN | 979-11-5905-249-1 (04810) | ||
쪽수 | 360 | ||
판형 | 152*223 각양장 | ||
가격 | 24,000원 |
『개정 정본 이상문학전집』을 펴내며
2005년, 『정본 이상문학전집』을 시작으로 하여, 2025년 『개정 정본 이상문학전집』을 폈다. 약 20년간의 이상의 흔적을 모아내었다. 그동안 주해자의 입장에서 이상의 문학세계에서 고군분투한 시간들이다. 이상을 연구하고 영향을 받을 많은 이들에게 더하기가 되는 전집으로 자리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약 63편의 수필기타를 담은 3권에서는 이번 판에 비록 짧은 텍스트이지만, 이상이 박태원의 결혼식 방명록에 쓴 글을 넣었다. 그리고 조연현 소장 일문 유고 노트에서 「무제3」, 「무제4」를 발굴하여 전집에 원문과 반역을 실었다. 유고 노트에서 번역되지 않고 남아 있던 것인데, 따로 제목이 없어 순서대로 그렇게 제목을 달았다. 아마도 전자는 작품의 내용에서 가져와서, 그리고 후자는 낙서가 덧씌워져 원문 독해에 어려움이 있어 번역에서 빠졌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정본전집(2006) 및 증보 정본전집(2009)에서 이상이 김기림에게 보낸 사신들을 전집(1)과 전집(2)를 토대로 제시하였는데, 2010년대 초반 『여성』을 뒤지다가 김기림이 소개해놓은 이상 편지들을 모두 볼 수 있었다. 다행히 이번에 그것들로 새롭게 소개했다. 이 편지들을 보면 편집자에 의해 와전되거나 조금씩 수정 및 변형된 부분들을 엿볼 수 있다.
한편 「논단시감」은 전집에서 뺐다. ‘송해경’이 김해경(이상)이 아닐뿐더러 내용상, 문체상 이상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전히 제대로 저자 확정이 되지 않은 「현대 미술의 요람」과 『조선과 건축』 권두언은 전집에 그대로 남겨놓았다. 이 작품들의 저자를 누군가 확정해주길 기대하며 2판을 내보낸다.
이미지로 보는 이상
정본 전집을 위하여
증보판 전집에 부쳐
개정판에 부쳐
수필 기타
血書三態
散策의가을
山村餘情
西望栗島
早春点描
女像四題
내가좋아하는花草와내집의花草
藥水
EPIGRAM
幸福
가을의探勝處
秋燈雜筆
十九世紀式
倦怠
슬푼이야기
病床以後
東京(遺稿)
얼마 안되는 辨解(혹은 一年이라는 題目)
무제
이 兒孩들에게 장난감을 주라
暮色
무제2
어리석은 夕飯
첫번째 放浪
恐怖의 記錄(서장)
恐怖의 城砦
夜色
무제3
무제4
烏瞰圖作者의말
文學을 버리고 文化를想像할수업다
文學과政治
나의愛誦詩
아름다운조선말
編輯後記
배의 역사
낙랑 파라의 새로움
아포리즘, 낙서, 기타
동생玉姬보아라
私信(二)
私信(三)
私信(四)
私信(五)
私信(六)
私信(七)
私信(八)
私信(九)
私信(十)
권두언 1
권두언 2
권두언 3
권두언 4
권두언 5
권두언 6
권두언 7
권두언 8
권두언 9
권두언 10
권두언 11
권두언 12
권두언 13
권두언 14
現代美術의搖籃
원문 수필 기타
낙서 기타
樂浪パ-ラの新らしさ
무제3
무제4
卷頭言(一)
卷頭言(二)
卷頭言(三)
卷頭言(四)
卷頭言(五)
卷頭言(六)
卷頭言(七)
卷頭言(八)
卷頭言(九)
卷頭言(十)
卷頭言(十一)
卷頭言(十二)
卷頭言(十三)
卷頭言(十四)
연보로 보는 이상
저자
이상 金海卿, Lee Sang
1910년 9월 23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신명학교와 동광학교·보성고보를 거쳐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였다. 1930년 소설 「12월 12일」의 발표를 시작으로 이후 일문시 「이상한 가역반응」·「조감도」 등을 발표하는 등 본격적인 창작에 나서게 된다. 1933년 각혈로 배천온천에 요양을 가서 금홍을 만났으며, 서울에 돌아와 동거를 하게 된다. 그녀와의 삶을 바탕으로 「지주회시」·「날개」·「봉별기」를 썼다. 1934년 『조선중앙일보』에 「오감도」를 발표하였으나 독자들의 거센 반발로 15편 연재로 그만두게 된다. 1935년에는 성천을 기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산촌여정」과 「권태」를 내놓게 된다. 1936년에 『시와 소설』을 편집하였고, 「날개」를 발표하여 일약 문단의 총아로 떠올랐으며, 「위독」·「동해」·「종생기」 등 뛰어난 작품들을 창작하였다. 10월에 동경으로 건너갔으며, 「실화」·「동경」 등을 창작하였다. 1937년 2월 불령선인으로 체포되었으며, 4월 17일 동경제대 부속병원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주해
김주현 金宙鉉, Kim Ju-hyeon
밤하늘에 별이 하늘 가득 빛나는 소백산 자락 부석에서 태어났다. 자라면서 가통을 적실히 지켜나가라는 가친의 뜻을 따라 학문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상, 김동리, 최인훈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으며, 최근 신채호를 비롯한 애국계몽기 문인들에 대해 집중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상 소설 연구』, 『신채호문학연구초』, 『김동리 소설 연구』, 『실험과 해체-이상 문학 연구』, 『계몽과 혁명-신채호의 삶과 문학』, 『화두를 찾아서-문학의 화두, 삶의 화두』, 『신채호 문학 주해』, 『선금술의 방법론-신채호의 문학을 넘어』, 『선금술의 방법론 2-춘원, 이상과 동리의 문학을 넘어』, 『계몽과 심미-한국 현대 작가·작품론』 등이 있고, 엮은 책으로는 『이상단편선-날개』, 『백세 노승의 미인담』, 『단재신채호전집』, 『그리운 그 이름, 이상』(공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