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Close

출간 도서

도서 상세보기

뒤로가기
정선육방옹시집 3
저자 육유 역자/편자 주기평 역
발행일 2023.06.25
ISBN 9791159058066
쪽수 475
판형 152*223 양장
가격 40,000원
서점 바로가기

송대를 대표하는 남송 최고의 시인, 육유

이 책의 저자인 육유(陸游, 1125∼1209)는 중국 남송(南宋)의 시인으로, 자(字)는 무관(務觀)이고 호(號)는 방옹(放翁)이며 월주(越州) 산음(山陰, 지금의 절강성(浙江省) 소흥시(紹興市)) 사람이다. 이른바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의 한 사람으로서 남송의 시단을 대표한다. 평생 일만 수에 달하는 시와 우국의 열정으로 가득한 시편을 통해 중국 최다작가이자 대표적인 우국 시인으로서의 명성을 지니고 있다. 그는 풍부한 문학적 소양과 방대한 지식, 부단하고 성실한 창작 태도 등을 바탕으로 시집 『검남시고(劍南詩稿)』 85권 외에 『위남문집(渭南文集)』 50권, 『남당서(南唐書)』 18권, 『노학암필기(老學庵筆記)』 10권, 『가세구문(家世舊聞)』 등 사와 산문, 역사 방면에서도 많은 저작들을 남기고 있다.


육유 시의 전모를 살펴볼 수 있는 시선집

이 책은 현전하는 육유 시선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편찬된 것으로, 남송(南宋) 나의(羅椅)가 편찬한 『간곡정선육방옹시집(澗谷精選陸放翁詩集)』 10권과 남송(南宋) 유진옹(劉辰翁)이 편찬한 『수계정선육방옹시집(須溪精選陸放翁詩集)』 8권 및 명(明) 유경인(劉景寅)이 편찬한 『육방옹시별집(陸放翁詩別集)』 1권의 합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수록된 작품 수는 총 687수이다.


육유의 시는 일찍부터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특히 조선의 문인들은 육유의 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여 조선 전기 세조 연간에 『간곡』과 『수계』를 합간한 『명공묘선육방옹시집(名公妙選陸放翁詩集)』이 간행되었으며, 조선 후기 정조 연간에는 두보의 율시와 육유의 율시를 모은 『두율분운(陸律分韻)』 등의 시선집이 간행된 바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중국 문학 전공자들의 송대 시 연구뿐 아니라 한국학 연구자에 있어 중국 시문학의 한국적 수용양상과 영향 등을 파악하는 데에도 좋은 자료가 되며, 일반 독자들에게는 중국 전통 시에 대한 지식과 감성을 쌓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육유의 시 전집은 명대까지도 아직 완정한 간본이 없이 필사본으로만 전해지고 있다가, 명대 모진(毛晉, 1599∼1659)의 급고각(汲古閣)에서 시 전집 『검남시고(劍南詩稿)』가 간행되어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정선육방옹시집』은 『검남시고』보다 백여 년 전에 간행된 것으로, 남송(南宋)의 나의(羅椅)와 유진옹(劉辰翁) 및 명(明) 유경인(劉景寅)이 편찬한 개별 선집을 하나로 엮어 각각 전집, 후집, 별집으로 구분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육유의 시 전집이 나오기 이전에 육유의 시를 보존하고 유통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했을 뿐 아니라, 비평가의 관점에서 적절한 평점과 평어를 병기함으로써 육유 시의 전모를 잘 드러내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시선집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선록된 시가의 구성면에 있어 육유 시의 서로 다른 풍격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선집이다. 『간곡』에는 육유의 시 중에서 청신하고 맑은 감성을 노래한 시가나 자연의 풍광을 노래한 산수 시 등이 수록된 반면, 『수계』에는 침략당한 나라를 애통해하는 비분강개한 감정과 강한 투쟁 정신을 표출하는 애국주의 정신을 담고 있는 시가들이 많다. 이러한 두 가지 풍격은 전종서(錢鍾書)가 『송시선주(宋詩選注)』에서 “육유의 작품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 하나는 비분과 격앙에 찬 감정으로 나라를 위해 설욕하고 잃어버린 국토를 찾아 도탄에 빠진 백성들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한적하고 섬세한 느낌으로 일상생활 속의 깊은 재미를 음미하고 눈앞의 경물의 다양하게 굴곡진 모습을 세밀하게 그려내는 것이다.”라고 밝힌 바와 같이, 육유의 시 세계를 구성하는 커다란 두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역자 서문

수계정선육방옹시집(須溪精選陸放翁詩集)권1

고시(古詩)

배에서 술 마주하며(舟中對酒)

늙은 어부(漁翁)

공안현에 정박하며(泊公安縣)

합강원을 노닐며 놀이 삼아 쓰다(遊合江園戱題)

취중에 지은 초서권에 제목을 쓴 후(題醉中所作草書卷後)

저녁에 오문을 지나며(晩過五門)

봄날의 시름(春愁)

매화(梅花)

범 사인에 화운하여 영강의 청성 도중에서 쓰다(和范舍人, 永康靑城道中作)

완화계의 여인(浣溪女)

8월 14일 밤에 삼차시에서 달을 구경하며(八月十四夜三叉市觀月)

풍교의 여관에서 쓰다(豐橋旅舍作)

대설가(大雪歌)

큰바람 속에 성에 올라(大風登城)

작교로 가는 도중 용사에서 잠시 머무르며(過筰橋道中龍祠小留)

제갈무후의 서대를 노닐며(遊諸葛武侯書臺)

파려강(玻瓈江)

겨울밤 기러기 소리를 듣고 느낀 바 있어(冬夜聞雁有感)

앞에 술 동이 술을 두고(前有樽酒行)

여름밤 잠 못 이루고 쓰다(夏夜不寐有賦)

 

권2

고시(古詩) 

성도의 노래(成都行)

10월 9일 객과 함께 술 마시다 문득 작년 이때 금병산에서 산남으로 돌아오던 도중 잠시 사냥했던 일이 떠올라, 오늘 다시 이곳으로 가려고 하며(十月九日, 與客飮, 忽記去年此時, 自錦屛歸山南道中小獵, 今又將去此矣)

동작대의 기녀(銅雀妓)

오랑캐 사신으로 가 동도의 역참에서 연회하며 쓴 짧은 사를 부쳐온 한무구의 편지를 받고(得韓无咎書寄使虜時, 宴東都驛中所作小闋)

봄 시름의 노래(春愁曲)

새벽에 탄식하며(曉歎)

고죽 순(苦笋)

하원립과 함께 연꽃을 감상하다 경호에서 옛날 노닐던 것을 생각하며(同何元立賞荷花, 懷鏡湖舊遊)

가을 소리(秋聲)

소고산도를 보고(觀小孤山圖)

술 마시며(飮酒)

이공린의 말 그림(龍眠畫馬)

미주군 연회에서 크게 취하여 사잇길로 말 달려 성을 나와 석불사에 유숙하다(眉州郡讌大醉, 中間道馳出城宿石佛寺)

누각에서 취해 부르는 노래(樓上醉歌)

익양현 강가에서(弋陽縣江上)

폐허를 거닐며(步虛)

초서의 노래(草書歌)

단가행(短歌行)

밤에 호수 가운데 고깃배 노랫소리를 듣고(夜聞湖中漁歌)

석수현에서 빗속에 배를 매어두고 놀이 삼아 짧은 노래를 짓다(石首縣, 雨中繫舟短歌)

도산에서 눈을 만나 천암 주인 각림이 초청했으나 가지 못하고(陶山遇雪, 覺林遷庵主見招不果往)

 

권3

고시(古詩)

은하수 편(明河篇)

술 대하고(對酒)

가까운 마을에서 술 마시며(飮酒近村)

황산탑(黃山塔)

조정으로 부임하는 큰 형님을 보내며(送三兄赴奏邸)

오 땅 여인의 노래(吳娘曲)

두보의 초상에 쓰다(題少陵畫像)

형주의 노래(荊州歌)

동오의 여자아이 노래(東吳女兒曲)

향초의 노래(芳草曲)

옛날의 이별(古別離)

밤에 소나무 소리를 듣고 느낀 바 있어(夜聞松聲有感)

창수의 여울(滄灘)

구당협의 노래(瞿塘歌)

답적 놀이(蹋磧)

비바람 속에 협곡 입구의 여러 산을 바라보니 매우 빼어나(風雨中望峽口諸山奇甚)

악지의 농가(岳池農家)

역로의 해당화가 이미 져 느낀 바 있어(驛路海棠已過有感)

밤에 강가 누각에 올라(夜登江樓)

동산(東山)


권4

고시(古詩)

서쪽 교외로 매화를 찾아가(西郊尋梅)

면주의 녹사참군 청사에서 초공의 매 그림과 두보가 쓴 시를 보고(綿州錄參軍廳, 觀楚公畫鷹, 少陵爲作詩者)

산남의 노래(山南行)

용이 하늘에 걸려(龍掛)

나시 협곡의 강에서 편하게 술 마시며(羅翅峽江小酌)

쌍청당에서 밤에 쓰다(雙淸堂夜賦)

청풍명월(風月)

동도의 조씨 정원을 노닐며(遊東都趙氏園)

술 대하고(對酒)

교외에서 시골 술을 마시고 크게 취해(郊飮村酒大醉)

차가운 밤에 회포를 풀어(寒夜遣懷)

장문궁의 원망(長門怨)

달 뜬 밤(月夕)

하원립의 증행시에 차운하여(次韻何元立贈行)

취중에 미산에서의 옛 노닒을 생각하고(醉中懷眉山舊遊)

남쪽 처마에서(南軒)

배 안에서 고악새 소리를 듣고(舟中聞姑惡)

세모에(歲暮)

오경에 족교에서 관서로 들어와(五鼓自簇橋入府)

옛 생각(古意)

 

권5

고시(古詩)

누추한 집에서 옛날을 생각하며(衡門感舊)

뽕나무를 심어(種桑)

집을 떠나며 처자에게 보이다(離家示妻子)

여름밤(夏夜)

달 뜬 저녁(月夕)

밤에 노 젓는 소리를 듣고(夜聞櫓聲)

술 대하고(對酒)

밤에 병서를 읽고(夜讀兵書)

주자운의 정원에서 꽃을 보며(朱子雲園中觀花)

술은 혼자 마실 이유가 없어(酒無獨飮理)

청산백운가(靑山白雲歌)

파병초 울음소리를 듣고(聞婆餅焦)

칠언율시(七言律詩)

막 이릉을 떠나며(初發夷陵)

봄이 지려 하여(春殘)

자성의 새 누각에 오르고 두루 다니다 서원의 연못 정자에 이르러(登子城新樓, 遍至西園池亭)

가을을 느껴(感秋)

일찍 출발하여 강원에 이르러(早起至江原)

절승정(絶勝亭)

능운사의 대불상을 알현하고(謁凌雲大像)

매화 한 가지를 얻어 놀이 삼아 쓰다(得梅一枝戱成)

두씨 장원에서 유숙하고 새벽에 일어나 비를 만나(宿杜氏莊晨起遇雨)

서쪽 누각에서 저녁에 바라보며(西樓夕望)

상원절(上元)

오체로 장계장에게 부쳐(吳體寄張季長)

취중에 피속대에 올라(醉中登避俗臺)

스스로 서술하다(自述)

비 오는 밤(雨夜)

가을비(秋雨)

배 안에서 새벽에 쓰다(舟中曉賦)

자거와 자휼에게 부쳐(寄子虡子遵)

 

권6

칠언율시(七言律詩)

비서감에 제수되어(恩除祕書監)

취중에 밤에 마을 시장에서 돌아와(醉中夜自村市歸)

병석에서 일어나(病起)

임안에 비가 개어(臨安雨晴)

막 추워져(初寒)

말 위에서(馬上)

황주에서(黃州)

영 땅을 슬퍼하며(哀郢)

물가 정자에서 생각나는 바 있어(水亭有懷)

강 위에서(江上)

원숭이 소리 들으며(聞猿)

남정의 말 위에서(南鄭馬上)

밤에 가맹의 혜조사에 이르러 탑소각에서 머무르며(夜抵葭萌惠照寺, 寓榻小閣)

돌아와 한중 땅에서 유숙하며(歸次漢中境上)

성도로 부임하며 배를 띄워 삼천에서 익창에 이르러, 내년에는 삼협을 내려갈 것을 계획하고(赴成都, 泛舟自三泉至益昌, 謀以明年下三峽)

칠월 일일 밤에 집 북쪽의 물가에 앉아(七月一日夜坐舍北水涯)

새로운 가을에 일을 느껴(新秋感事)

비바람 속에 용동각을 지나며(風雨中過龍洞閣)

홀로 성 서쪽의 여러 사찰을 노닐며(獨游城西諸僧舍)

농부의 집을 지나며(過野人家)

저녁의 흥(晩興)

방화루에서 밤에 연회하며(芳華樓夜宴)

가을 생각(秋思)

달 아래에서(月下)

생각을 쓰다(書懷)

순 임금의 사당에서 옛날을 생각하며(舜廟懷古)

 

권7

칠언절구(七言絶句)

주필역(籌筆驛)

가랑비 매우 시원하여 배 안에서 저녁까지 깊이 잠들어(小雨極涼舟中熟睡至夕)

겨울밤에 빗소리를 듣고 놀이 삼아 쓰다 2수(冬夜聽雨戱作二首)

사찰 누각에서 밤에 취하여(寺樓月夜醉中)

화엄각의 승방을 보고(觀華嚴閣僧齋)

책을 읽다(讀書)

여러 일을 읊다(雜詠)

밤에 앉아서(夜坐)

문군정(文君井)

꿈을 적다(記夢)

강가에서 매화를 찾아(江上尋梅)

돌아오는 말 위에서 매화를 보고(看梅歸馬上)

조서를 맞이하며(迎詔書)

반딧불을 보고(見螢)

가을밤 연못 가에서 쓰다(秋夜池上作)

꽃 피는 때 여러 정원을 두루 노닐며 2수(花時遍遊諸園二首)

봄날 저녁에 일을 느껴(春晩感事)

매화(梅)

심씨 정원 2수(沈園二首)

백낙천의 시에서 “수놓은 침상에 권태로이 기대어 시름겨워 움직이지 않는데, 푸른 살쩍 머리 느슨하게 드리우고 쪽 머리는 내려왔네. 요양의 봄 다하도록 소식이 없어, 밤에 야합화는 피고 해는 다시 서쪽으로 기우네”라 하였는데, 일 꾸미기 좋아하는 사람이 「권수도」로 그렸다. 이 꽃은 오뉴월 간에 산중에서 피는데, 사람들이 도리어 이를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白樂天詩, 倦倚繡牀愁不動, 緩垂綠鬢髻鬟低, 遼陽春盡無消息, 夜合花開日又西, 好事者畫爲倦繡圖. 此花以五六月間開山中, 人殊不貴之)

해오라기(鷺)

호숫가 마을의 달밤(湖村月夕)

군영의 노래(軍中雜歌)

무제(無題)

매화를 보며 2수(看梅二首)

진노산의 새 거처에 차운하여(次韻魯山新居)

풍교사에서 유숙하며(宿楓橋)

중양절(重陽)

비 갠 밤에 달을 보고(霽夜觀月)


지은이

육유 陸游, 1125~1209

남송(南宋)의 시인으로, 자(字)는 무관(務觀)이고 호(號)는 방옹(放翁)이며 월주(越州) 산음(山陰, 지금의 절강성(浙江省) 소흥시(紹興市)) 사람이다.

이른바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의 한 사람으로서 남송의 시단을 대표하는 시인이자, 평생 일만 수에 달하는 시와 우국의 열정으로 가득한 시편으로 인해 중국 최다 작가이자 대표적인 우국 시인으로서의 명성을 지니고 있다. 풍부한 문학적 소양과 방대한 지식, 부단하고 성실한 창작 태도 등을 바탕으로 시집 『검남시고(劍南詩稿)』 85권 외에 『위남문집(渭南文集)』 50권, 『남당서(南唐書)』 18권, 『노학암필기(老學庵筆記)』 10권, 『가세구문(家世舊聞)』 등 시와 산문, 역사 방면에 있어서도 많은 저작들을 남기고 있다.


옮긴이

주기평 朱基平, Ju Gi-Pyeong

호(號)는 벽송(碧松)이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 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객원 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와 서울시립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육유시가연구』, 『조선 후기 유서와 지식의 계보학』(공저), 역서로 『향렴집』, 『천가시』, 『육유사』, 『육유시선』, 『잠삼시선』, 『고적시선』, 『왕창령시선』,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악부시집ㆍ청상곡사』(공역) 등이 있다.

TOP